카테고리 없음

초보 프리랜서를 위한 필수 세무·회계 용어 10가지 쉽게 정리

finance-home365 2025. 4. 12. 12:00

프리랜서를 시작하면 처음 마주하게 되는 장벽 중 하나가 바로 세무·회계 용어입니다. 저도 처음엔 ‘종합소득세’와 ‘원천징수’의 차이도 몰라서 세무사에게 물어보며 하나하나 익혔어요.

이 글에서는 초보 프리랜서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세무·회계 용어 10가지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. 앞으로 세금 신고나 계약 시 헷갈리지 않도록 미리 익혀두세요!

✔ 1. 사업자등록

프리랜서가 국세청에 내가 사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신고하는 절차입니다. 등록을 해야 세금 신고도 정식으로 가능하고, 세금계산서도 발행할 수 있어요.

✔ 2. 종합소득세

1년 동안 발생한 모든 소득(사업, 근로, 이자 등)을 종합해 납부하는 세금입니다. 프리랜서는 매년 5월에 직접 신고·납부해야 해요.

✔ 3. 필요경비

수입을 얻기 위해 지출한 비용. 예: 사무용품비, 출장비, 인터넷 요금. 세금 계산 시 수입에서 제외되기 때문에, 영수증 보관 필수!

✔ 4. 원천징수

클라이언트가 프리랜서에게 지급하기 전 세금을 먼저 떼고 국세청에 신고하는 방식. 보통 3.3% 공제됩니다.

✔ 5. 간이과세자 / 일반과세자

  • 간이과세자: 연 매출 8,000만원 미만, 부가세 부담 ↓
  • 일반과세자: 매출 크거나 세금계산서 발급 필요 시 선택

✔ 6. 세액공제 / 소득공제

  • 소득공제: 과세표준(세금 매기는 기준)을 낮춤
  • 세액공제: 납부할 세금에서 바로 차감

✔ 7. 간편장부 / 복식장부

간편장부: 간단한 수입·지출만 기록 (소규모 사업자)
복식장부: 자산·부채·자본까지 기록 (매출 많으면 의무)

✔ 8. 세금계산서

프리랜서가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클라이언트에게 정식으로 매출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. 홈택스에서 발행 가능.

✔ 9. 기장

사업자가 자신의 수입·지출을 장부에 기록하는 것. 기장을 잘하면 세금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.

✔ 10. 가산세

세금 신고 지연 또는 누락 시 부과되는 벌금 같은 세금. 종합소득세나 사업자등록 지연 시 주의!

✔ 마무리

이 용어들을 알게 된 후로는 세무서를 방문하거나 홈택스를 쓸 때 훨씬 수월해졌어요. 처음엔 어려울 수 있지만, 한 번 익혀두면 평생 써먹을 수 있는 정보입니다.

다음 편에서는 프리랜서를 위한 홈택스 사용법과 신고 흐름을 다룰 예정이에요. 블로그에 고정 방문자와 신뢰를 쌓고 싶다면, 이런 초보자용 콘텐츠부터 시리즈로 만들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