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2편. 신용점수가 뭐길래 대출 승인이 안 날까?
finance-home365
2025. 4. 4. 18:00
대출을 알아보다 보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신용점수입니다. 저 역시 사회초년생 시절, 첫 대출을 시도했다가 “신용점수가 낮다”는 이유로 거절당했던 경험이 있습니다. 그때는 막막했지만, 지금 생각해보면 신용점수는 대출뿐 아니라 모든 금융 활동의 출발점이었습니다.
✔ 신용점수란 무엇인가요?
신용점수란 개인의 금융 신뢰도를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. 이 점수는 은행, 카드사, 캐피탈, 보험사가 대출 승인 여부를 판단할 때 핵심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- 800점 이상: 매우 우수 – 대부분의 금융상품 이용 가능
- 700~799점: 양호 – 일반 신용대출, 카드 발급에 무리 없음
- 600~699점: 주의 – 일부 상품 제한, 금리 불이익 가능
- 600점 미만: 위험 – 대부분 거절 또는 고금리 대출
✔ 신용점수는 어떻게 결정될까요?
신용점수는 단순히 연체 여부만 보는 것이 아니라, 당신의 전반적인 금융 습관을 평가해 정해집니다.
- 연체 이력: 최근 2년간 납부 지연 여부
- 대출 잔액: 현재 보유한 대출 규모
- 신용카드 사용 패턴: 정기 납부, 할부 비율 등
- 신규 대출 빈도: 짧은 기간 내 대출·카드 신청이 많을수록 감점
저는 단기 카드론을 자주 사용했던 시기에 무려 40점 가까이 떨어진 적이 있습니다. 별 생각 없이 쓴 카드론이 대출 거절 사유가 된다는 걸 그때 처음 알았죠. 그 이후론 금융습관을 완전히 바꾸게 되었습니다.
✔ 사회초년생이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
신용점수를 올리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, 작은 실천의 반복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.
- 통신요금·공과금 자동이체: 성실 납부 이력 반영
- 체크카드 월 30만 원 이상 사용: 6개월 이상 사용 시 긍정 반영
- 불필요한 신용카드, 대출 신청 자제
- NICE, KCB를 통한 무료 신용점수 조회
✔ 대출 신청 전, 꼭 체크해야 할 것
대출을 신청하기 전에는 반드시 자신의 신용점수와 연체이력을 조회해보세요. 가장 좋은 전략은 3개월 이상 납부 이력을 관리한 뒤, 소액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. 특히 사회초년생은 신용정보의 첫 단추를 잘 꿰는 게 중요합니다.
✔ 다음 편 예고: 금리를 낮추는 실전 전략
👉 다음 글에서는 “대출금리는 어떻게 정해질까? 금리를 낮추는 실전 팁”을 다룰 예정입니다. 이 시리즈가 도움이 되셨다면 북마크해두시고,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!